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영시 제2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통영시_제2선거구8.png
선거인 수41,957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통영시 일부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규 (초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통영시의 육지에 위치한 동 지역을 관할한다.

동 지역임에도, 무전동을 제외하면, 읍면 지역과 별 차이없는 국민의힘 지지세를 자랑한다. 오히려 광도면이 있는 옆 동네보다 더 강한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통영시 제1,2,3선거구
제5대정석현
ta-hash-start=w-23155780abc078337c84b1aee5ee2ed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송건태
무소속

[2]
김수용
ta-hash-start=w-5e6bd7a6970cd4325e587f02667f7f7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
통영시 제2선거구
제6대정석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0년 10월 11일[4][5]
최두관2001년 4월 27일 ~ 2002년 6월 30일
제7대김명주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4일[6]
강석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6월 5일 ~ 2006년 6월 30일
제8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9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2월 25일[7]
제10대천영기
ta-hash-start=w-5f08d74ee6a96a4f5240dc4051c2fb8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20일[8][9][10]
제11대강근식
ta-hash-start=w-e5e6bf4f5554b6f9244f605136d6888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3월 29일[11]
제12대김태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1선거구
도천동, 서호동, 명정동, 항남동, 문화동, 태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석현(丁碩炫)6,5681위

ta-hash-start=w-ec62f93b5e03666fe7429882aa7c0207[[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9.53%당선
2김광수(金光秀)4,6112위

무소속

34.77%낙선
3장철수(張哲洙)2,0793위

무소속

15.68%낙선
선거인 수18,133투표율
75.94%
투표 수13,771
무효표 수513

통영시 제2선거구
동호동, 정량동, 북신동, 정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길(金成吉)3,8033위

ta-hash-start=w-522ca7b72bfcd38c4154e58346c3026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2.51%낙선
2김순운(金淳雲)1,7595위

무소속

10.41%낙선
3김일신(金一信)4,0412위

무소속

23.92%낙선
4송건태(宋健台)5,2191위

무소속

30.90%당선
5장영석(張榮錫)2,0674위

무소속

12.23%낙선
선거인 수22,953투표율
76.00%
투표 수17,446
무효표 수557

통영시 제3선거구
평림동, 인평동, 당동, 미수1동, 미수2동, 봉평동, 도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수용(金銖榕)9,4841위

ta-hash-start=w-1e16cc9fc054b1c56a4411541ff63c4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5.25%당선
2박화지(朴和枝)7,6812위

무소속

44.74%낙선
선거인 수22,692투표율
78.50%
투표 수17,814
무효표 수649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인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석현(丁碩炫)16,8341위
59.75%당선
4송건태(宋健台)11,3402위
40.24%낙선
선거인 수46,576투표율
56.64%
투표 수29,178
무효표 수1,00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인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명주(金命柱)19,4931위
79.35%당선
3이판호(李判鎬)5,0702위
20.64%낙선
선거인 수47,862투표율
53.21%
투표 수25,468
무효표 수905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인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강석주(姜錫柱)16,2831위
58.44%당선
6고준부(高俊夫)4,6573위
16.71%낙선
7정석현(丁碩炫)6,9182위
24.83%낙선
선거인 수50,050투표율
56.88%
투표 수28,471
무효표 수613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인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주(姜錫柱)15,3361위
51.21%당선
5우재환(禹再煥)3,7053위
12.37%낙선
7송건태(宋健台)10,9012위
36.41%낙선
선거인 수50,112투표율
60.91%
투표 수30,780
무효표 수833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천영기(千榮基)13,4591위
53.60%당선
4송건태(宋健台)11,6512위
46.39%낙선
5정석현(丁碩炫)사퇴[12]
선거인 수48,357투표율
60.44%
투표 수29,240
무효표 수4,130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용문(劉龍文)9,1532위
32.22%낙선
2강근식(姜根植)12,2441위
43.10%당선
6송건태(宋健台)7,0053위
24.66%낙선
선거인 수44,498투표율
65.43%
투표 수29,119
무효표 수717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용문(劉龍文)6,6972위
28.13%낙선
2김태규(金泰圭)17,1071위
71.86%당선
선거인 수41,957투표율
57.99%
투표 수24,335
무효표 수531
현역 강근식 도의원은 통영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도의원직을 사퇴했다. 막상 당내 경선에서 고배를 마셔 출마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난번에도 출마하였던 유용문 한국예술인단체총연합회 통영지회 수석부회장이 재출마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김태규 정점식 국회의원 특별보좌관이 단수공천 받았다.

무소속 후보가 20% 이상 받으며 3자 구도로 갔던 저번 선거와 달리, 이번에는 양당 1:1 구도가 형성되었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김태규 후보가 70% 이상의 득표율로 넉넉한 승리를 거두었다. 신시가지가 있는 무전동에서 68.8% 받은 걸 제외하면 모든 동에서 김태규 후보가 74~77% 사이를 득표하며 저번 지선때도 못 무너뜨린 민주당의 사지임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1] 통영시 제1선거구 (도천동, 서호동, 명정동, 항남동, 문화동, 태평동)[2] 통영시 제2선거구 (동호동, 정량동, 북신동, 정량동)[3] 통영시 제3선거구 (평림동, 인평동, 당동, 미수1동, 미수2동, 봉평동, 도남동)[4]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인평동[5] 미수1동, 미수2동, 봉평동, 도남동은 제1선거구로 편성되었으며, 당동이 도천동에 통합, 평림동 일부가 인평동에 통합, 서호동과 평림동 일부가 명정동에 통합, 동호동이 정량동에 통합, 문화동, 태평동, 항남동을 합쳐 중앙동으로 개편되었다.[6]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7] 6회 지선 통영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8] 7회 지선 통영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10] 인평동이 도천동에 통합되었다.[11] 8회 지선 통영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2] 2014년 5월 30일 무소속 송건태 후보와 단일화하였다. 사전투표 도중에 사퇴한데다, 투표지에는 사퇴했다는 표기 없이 발행되므로 무효표가 다소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